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스닥에 상장한 염모제, 헤어케어 관련주 세화피앤씨에 대해 간단히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력적인 포인트가 많은 기업이므로, 아래 내용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업구조
세화피앤씨는 2016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헤어 및 바디케어 제품, 염모제 전문 제조 및 유통 기업입니다. 주요 브랜드로는 모레모와 리체나가 있으며, 모레모는 올리브영과 온라인, 해외 유통 채널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고, 리체나는 홈쇼핑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기존 염모제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헤어케어 제품으로 사업의 중심을 이동하였으며, 2020년에는 화장품 매출이 전체 매출의 50%를 초과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화장품 매출 비중이 56.9%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헤어코스메틱을 넘어 헤어바디코스메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은 438억 원이며, 이 중 헤어케어가 54.9%, 염모제가 33.0%, 기타 제품이 14.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염모제 매출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기타 제품 매출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판매 전략은 홈쇼핑, 수출, 온라인, OEM·ODM, 매스마켓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홈쇼핑 부문에서는 리체나 샴푸형 염색제가 대표적인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시즌별 신제품을 통해 품목을 다양화하고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수출 부문에서는 일본, 동남아시아, 중동,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로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큐텐재팬, 로프트, 이세탄 백화점 등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가디언, 홍콩의 매닝스 등에 제품을 입점시켰습니다. 중동에서는 두바이 고급 미용실과 호텔을 중심으로 유통을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온라인 및 홈쇼핑을 통해 진출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CPNP 등록을 완료하고 27개국에 걸쳐 유통을 진행 중입니다.
온라인 부문에서는 SNS 채널을 기반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으며, 큐텐재팬, 라쿠텐, Shopee 등 주요 글로벌 온라인몰에 입점해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리뉴얼된 모레모 브랜드와 함께 온라인 채널 운영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
OEM·ODM 부문에서는 40년 이상의 염모제 제조 경험과 다양한 제형의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거래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CGMP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동성제약, 에이프릴스킨 등과 협력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염모제뿐만 아니라 헤어, 스킨, 바디케어 제품군으로 OEM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매스마켓 부문에서는 올리브영과 다이소를 중심으로 제품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올리브영에는 약 30개 품목의 모레모 제품이 입점되어 있으며, 다이소에는 프리모팩토리 브랜드로 13개 품목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연간 | 분기 | ||||||||
구분 | 2022. 12 | 2023. 12 | 2024. 12 | 2023. 12 | 2024. 03 | 2024. 06 | 2024. 09 | 2024. 12 | |
매출액 | 379 | 412 | 439 | 101 | 96 | 122 | 119 | 102 | |
영업이익 | 8 | 20 | 27 | 2 | -1 | 18 | 16 | -5 | |
당기순이익 | 13 | 28 | 33 | 8 | 1 | 17 | 14 | 1 | |
영업이익률 | 2.18 | 4.75 | 6.25 | 2.02 | -1.22 | 14.69 | 13.34 | -5.16 | |
순이익률 | 3.48 | 6.72 | 7.54 | 8.16 | 1.14 | 13.96 | 11.41 | 1.32 | |
ROE(지배주주) | 3.6 | 7.25 | 8.22 | 7.25 | 6.26 | 7.54 | 9.96 | 8.22 | |
부채비율 | 9.62 | 10.16 | 10.22 | 10.16 | 12.96 | 12.25 | 11.52 | 10.22 | |
당좌비율 | 628.74 | 587.67 | 701.14 | 587.67 | 441.42 | 482.84 | 595.14 | 701.14 | |
유보율 | 795.32 | 846.49 | 895.55 | 846.49 | 831.92 | 872.73 | 905.31 | 895.55 | |
EPS(원) | 32 | 67 | 80 | 20 | 3 | 41 | 33 | 3 | |
PER(배) | 40.22 | 13.73 | 10.24 | 13.73 | 14.83 | 16.29 | 10.56 | 10.24 | |
BPS(원) | 895 | 946 | 996 | 946 | 932 | 973 | 1,005 | 996 | |
PBR(배) | 1.43 | 0.97 | 0.82 | 0.97 | 0.91 | 1.2 | 1.01 | 0.82 | |
주당배당금(원) | 10 | 17 | 50 | 17 | 50 | ||||
시가배당률(%) | 0.78 | 1.86 | 6.12 | 1.86 | 6.12 | ||||
배당성향(%) | 31.42 | 25.48 | 62.68 | 85.48 | 1539.87 |
- 매출액이 매해 상승 흐름에 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연간 꾸준한 상승세에 있습니다.
- 단, 분기수익에는 다소 굴곡이 있는 편입니다. 매출이 외부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증감이 잦은 편으로 보입니다.
- 부채비율이 10%대로 매우 낮은 편이고, 당좌율과 유보율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 PER과 PBR은 주가 하락에 따라 10배, 0.8배 수준으로, 꾸준히 낮아지는 형세입니다.
- PSR은 0.76 가량으로, 같은 테마 종목 대비 완연한 저평가는 아니지만 적정 수준에 있다고 보여집니다.
차트
- 현재 2023년부터 이어진 박스권에 속해있으며, 주가가 역사적 바닥권에 속합니다.
- 천장은 약 1450원, 바닥은 820원 정도로 책정됩니다.
- 현재 국내 주가지수가 매우 저평가된 점을 고려했을 때, 상승여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주된 주가 상승 흐름이 발생한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18년 1월 : 코나인터내셔널과 106억 규모 중국 독점공급 계약 체결
- 2018년 4월 : 중국 절강성 사전통관기업으로 선정됨
- 2020년 5월 : 자사 상품 모레모가 일본 4대 쇼핑몰 큐텐에서 누적 판매량 10만개 돌파
- 2021년 9월 : 무상증자
- 2023년 8월 :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 허용으로 영업이익 폭등
- 2024년 4월 : 중동, 특히 두바이 시장에서 자사 뷰티브랜드 모레모가 론칭
- 2024년 6월 : 아랍에미리트 화장품 관세 철회 소식에 상한가
- 2024년 7월 : 미국, 영국 TV 홈쇼핑 한정판 에디션으로 공략 소식
지배구조
이훈구 외 9인의 보유지분이 31.33%로, 유동주식은 68.67%입니다.
공시
2021년 9월, 1:1 무상증자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외 공시 특이사항 없이 깨끗합니다.
키워드
화장품 섹터로 구분되며, 특히 중국에 제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많은 모멘텀을 받은 기업입니다.
그 외에도 글로벌 헤어케어 제품으로서 면세점 등의 키워드에 반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의견
- 장점
- 화장품은 필수소비재로, 경기에 강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주가가 크게 하락하여 바닥권에 위치해있습니다.
- 한한령 해제에 따른 화장품 관련주의 동반 상승도 기대해봄직 합니다.
- 부채가 매우 적고, 3년 연속으로 사업이 성장중입니다.
- 단점
- K-뷰티 특성 상 내수가 아닌 해외를 중점으로 공략하는 기업은 관세전쟁 시기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기 쉽습니다.
- 현재 주가가 대폭 내려앉은 것도 트럼프 관세전쟁의 영향과 중국 한한령의 영향이 크지 않은가 싶습니다.
- K-뷰티 특성 상 내수가 아닌 해외를 중점으로 공략하는 기업은 관세전쟁 시기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기 쉽습니다.
- 총평
- 주가가 바닥권이고, 상승여력이 있으며, 기대해볼 모멘텀이 있습니다.
- 필수소비재에 속하는 화장품이므로, 포트폴리오에 담아둘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