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스닥에 상장한 인테리어 관련주 시공테크에 대해 간단히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가가 매우 큰 폭으로 급변동하는 종목이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를 요하며, 아래 내용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사업구조
시공테크는 1988년에 설립되어 전시문화산업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199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박물관, 과학관, 전시관, 테마파크 등 다양한 전시공간을 기획, 설계, 시공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시물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영상, 시스템, 인테리어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기업입니다.
회사의 사업은 전시 및 인테리어 시설의 제작·설치 부문과 설계 용역 부문으로 나뉘며, 매출의 대부분은 제작·설치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수행한 전시 프로젝트는 1,000여 곳에 달하며, 국내외 박람회 및 국가기관 프로젝트를 포함한 다수의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회사로는 아이스크림에듀, 아이스크림미디어, 시공문화, 스페이스타임인베스트먼트, 시공테크 미얀마 등이 있으며, 교육 콘텐츠 제작, 문화재 보존, 투자사업, 해외 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해 관련 분야와의 시너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전시문화산업은 복합적이고 지식집약적인 산업으로, 박물관 및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 공공부문 발주 비중이 높고, 수주 방식은 기술력과 창의성을 평가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기술력, 전문 인력, 프로젝트 수행 경험 등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시공테크는 다양한 전공의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디자인, 설계, 모형, 영상, 시스템 통합 등 전시 전 과정을 자체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등을 포함한 지식재산권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 차별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시문화산업은 정부 정책,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개발 사업, 여가시간 확대 등의 요인에 따라 성장성이 높다고 평가되며, 시공테크는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영국, 중국 등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국내 전시문화산업에서 선도적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연간 | 분기 | ||||||||
구분 | 2022. 12 | 2023. 12 | 2024. 12 | 2023. 12 | 2024. 03 | 2024. 06 | 2024. 09 | 2024. 12 | |
매출액 | 1,002 | 1,349 | 1,471 | 387 | 272 | 243 | 296 | 660 | |
영업이익 | -52 | 56 | 64 | 15 | -11 | -21 | 21 | 76 | |
당기순이익 | 69 | 83 | 305 | 21 | -25 | 28 | 154 | 148 | |
영업이익률 | -5.19 | 4.16 | 4.37 | 3.87 | -4.17 | -8.6 | 6.98 | 11.49 | |
순이익률 | 6.91 | 6.17 | 20.71 | 5.3 | -9.24 | 11.73 | 52 | 22.34 | |
ROE(지배주주) | 5.8 | 6.49 | 21.05 | 6.49 | 6.55 | 1.55 | 12.96 | 21.05 | |
부채비율 | 31.06 | 33.63 | 44.22 | 33.63 | 38.47 | 39.43 | 38.41 | 44.22 | |
당좌비율 | 100.05 | 117.67 | 95.39 | 117.67 | 160.52 | 83.33 | 82.29 | 95.39 | |
유보율 | 1154.02 | 1225.24 | 1509.19 | 1225.24 | 1183.91 | 1214.36 | 1367.79 | 1509.19 | |
EPS(원) | 345 | 415 | 1520 | 102 | -126 | 142 | 768 | 736 | |
PER(배) | 12.16 | 10.5 | 2.66 | 10.5 | 10.86 | 40.79 | 4.39 | 2.66 | |
BPS(원) | 6,517 | 6,933 | 8,351 | 6,933 | 6,709 | 6,892 | 7,635 | 8,351 | |
PBR(배) | 0.64 | 0.63 | 0.48 | 0.63 | 0.66 | 0.6 | 0.51 | 0.48 | |
주당배당금(원) | 20 | 80 | 120 | 80 | 120 | ||||
시가배당률(%) | 0.48 | 1.84 | 2.97 | 1.84 | 2.97 | ||||
배당성향(%) | 5.5 | 18.32 | 7.43 | 74.29 | 15.34 |
- 매출액은 성장세에 있습니다. 하지만 분기별로 편차가 심한 모습을 보입니다.
- 2022년 영업이익은 마이너스였으나 당기순이익은 양호했습니다.
- 2024년 영업이익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당기순이익은 큰 폭의 플러스를 보여줍니다.
- 즉, 영업 외 수익이 비교적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부채비율은 다소 상승 추세에 있으나, 50% 미만의 수준으로 매우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 당좌율과 유보율이 안정적입니다.
- 2017년부터 매해 배당을 실시해왔으나, 2023년까지의 배당금은 2% 미만으로 책정되어 왔습니다.
- 하지만 2024년 시가배당률은 3% 수준으로, 기존 대비 높은 수준으로 책정되었습니다.
차트
- 최근 아주 큰 폭의 주가 상승 (약 300%)가 일어난 이후, 급락한 상태입니다.
- 이는 한덕수 전 총리 테마주로 편입된 영향으로 보입니다.
- 현 주가는 바닥에 매우 가깝습니다.
- 1차 천장은 10000원, 2차 천장은 7600원으로 확인됩니다.
- 1차 바닥은 3000원, 2차 바닥은 3800원으로 보입니다.
- 그 외 주요 상승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5년 4월 : 자회사 시공미디어, 시공교육의 가치가 부각되며 증권가에서 투자의견을 강력매수로 제시함
- 2017년 1월 : 580억 규모 아스타나 엑스포 주제관 공사 수주 소식에 상승
- 2018년 4~5월 : 영업이익 흑자전환, 신규 수주 소식 등에 상승
- 2020년 6월 : 대규모 계약 수주 건이 몰리면서 주가 상승
- 2021년 4월 : 원인 불명, 슈퍼개미의 영향이라는 설과 이재명/오세훈 테마주라는 설이 공존
- 2022년 4월 : 한덕수 국무총리 관련주로 편입
- 2023년 12월 : 부산 엑스포 유치 기대감에 상승했다가, 실패로 인해 급락
지배구조
박기석 외 2인 43.13%, 자사주 5.91%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주주는 박기석씨로, 2대주주 박대민씨와 지분이 1.2%에 불과합니다.
유통주식 비율은 약 50.96%네요.
공시
유상증자, 전환사채 등의 위험한 공시 전무합니다.
프로젝트 수주 내역을 자율공시하는 편이 잦으나, 주가에는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키워드
주로 엑스포 소식과 정치테마주로 묶여서 상승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최근 한덕수 관련주로 묶여서 큰 폭의 주가 변화를 일궈냈지만, 한덕수 전 총리가 대선 레이스에서 이탈하면서 힘을 잃은 모양새입니다.
투자 의견
- 장점
-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가 하락한 이후의 바닥이므로, 주가가 단시간에 급락할 위험성은 매우 낮으며 오히려 반발매수세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재무구조가 안정적인 편이고, 모멘텀도 준수합니다.
- 단점
- 큰 규모의 전시관 수주에만 실질적인 모멘텀이 발생하고, 그 외에는 전반적으로 모멘텀보다는 개인이 주도하는 흐름이 강합니다.
- 현재 구체적인 모멘텀이라 할만한 것이 부재합니다.
- 엑스포 등의 큰 행사가 국내 유치되면 베스트인데, 현재 2027년, 2030년 모두 해외에서 유치될 예정입니다.
프로젝트를 수주할 가능성은 다소 낮아보입니다. - 정치테마주로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선 레이스에서 이탈하면서 모멘텀을 상실했습니다.
- 엑스포 등의 큰 행사가 국내 유치되면 베스트인데, 현재 2027년, 2030년 모두 해외에서 유치될 예정입니다.
- 총평
- 현재 가격대가 매우 바닥권에 위치하고 있어, 큰 이슈만 오지 않는다면 주가 방어가 충분히 될 것으로 보입니다.
- 하지만 모멘텀이 매우 부재하여, 횡보가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처로서는 현명하지 않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