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신바이오 주가, 배당 및 관련주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스닥에 상장한 콜드체인 관련주 일신바이오에 대해 간단히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구조

일신바이오는 1988년 일신엔지니어링으로 설립된 이후, 1994년 법인 전환과 2007년 코스닥 상장을 거쳐 현재까지 바이오 연구장비 전문 기업으로 사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은 동결건조기와 초저온냉동고이며, 실험실용 소형 장비부터 제약 및 식품산업용 대형 설비까지 다양한 기종을 개발·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장비 산업은 생명공학, 기계, 전자, 화학 등 다양한 학문과 기술이 결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 선점이 이뤄질 경우 국내외 시장 진입이 빠르며 진입장벽도 높은 분야입니다. 일신바이오는 국내 최초로 동결건조기와 초저온냉동고를 국산화하며 시장을 선도해왔고, 현재는 국내외 연구기관, 대학, 제약회사, 식품회사 등을 주요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인 아이에스씨는 해외 영업 및 마케팅을 전담하며,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유럽, 남미, 동남아, 중동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대형 설비 수주도 지속적으로 확대 중입니다.

회사의 매출은 최근 몇 년간 변동성이 있었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감소한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주요 제품군은 대용량 동결건조기, 초저온냉동고, 실험실용 제빙기 등이며, 이 중 동결건조기 관련 제품이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판매는 국내외 대리점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며, 국내의 경우 수도권, 충청, 영남, 호남 등 주요 권역별 지점을 운영 중입니다. 해외는 각국 에이전트를 통해 전시회, 학회, 온라인 홍보 등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판매 전략은 기술 우위를 기반으로 한 고정 고객 집중관리, A/S 신속 대응 시스템 구축, 직판 체계 확대, 시장별 맞춤 대응을 중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약·식품 PLANT 설비의 수요 증가에 발맞춰 고성능 대형 동결건조기 제품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술경쟁력 면에서는 7건의 특허, 의장등록, 실용신안을 보유하고 있으며, NeP, CE, ETL 등 국내외 인증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또한 국내 바이오장비 최초로 세계일류상품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과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일신바이오는 앞으로도 자체 기술력과 생산 자동화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바이오장비의 개발과 수출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성장세와 함께 정부의 관련 산업 육성정책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해외 수요 증가에 따라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도 높은 편입니다.

 

재무제표

연간   분기
구분 2022. 12 2023. 12 2024. 12   2023. 12 2024. 03 2024. 06 2024. 09 2024. 12
매출액 204 164 108 15 28 26 39 19
영업이익 51 62 23 1 6 4 12 4
당기순이익 38 62 38 6 8 5 19 7
영업이익률 25.15 37.81 20.91 7.66 22.02 14.31 29.84 23.5
순이익률 18.67 37.92 35.23 37.01 29.03 20.12 49.15 35.13
ROE(지배주주) 7.34 11.24 6.49 10.01 6.74 8.09 6.49 6.61
부채비율 8.61 6.23 5.77 5.83 4.56 5.57 5.77 5.69
당좌비율 725.33 1051.2 1133.58 1091.53 1394.51 1235.48 1133.58 1148.18
유보율 1176.84 1303.31 1379.88 1309.63 1329.67 1341.61 1379.88 1388.26
EPS(원) 86 141 86 13 18 12 43 15
PER(배) 18.02 9.56 12.01 11.27 14.27 13.37 12.01 11.09
BPS(원) 1,256 1,369 1,450 1,376 1,397 1,410 1,450 1,459
PBR(배) 1.24 0.98 0.71 1.04 0.88 0.98 0.71 0.67
주당배당금(원) 7 7 7       7  
시가배당률(%) 0.45 0.52 0.68       0.68  
배당성향(%) 7.87 4.68 7.65       15.28  
  • 분기적자 한번 없이 꾸준한 매출을 보여줍니다.
    • 영업이익이 작년 다소 감소한 것이 아쉽습니다.
  • 영업이익률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 부채비율이 매우 낮고, 당좌율과 유보율이 매우 높습니다.
    • 매우 안정적으로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채 관리가 탁월합니다.
  • PER 12.46배, PBR 0.75배, PSR 4.36배로 동일업종 평균이거나 약간 저평가된 상태입니다.
    • 주가에 따라 변동이 일어날 수 있겠지만, 현재 가치는 비교적 매력적인 상태로 보입니다.
  • 주당 배당금이 단 7원으로, 시가배당률이 매우 낮은 편에 속합니다.
    • 유보금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배당에 매우 보수적인 것은 다소 의아합니다.
    • 배당이 적으므로 주가 방어에는 불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차트

  • 현 주가는 역사적 고점 대비 11.5% 수준으로, 매우 낮은 상태입니다.
    • 2020년 당시는 코로나19로 인한 여파로, 백신 운송 건으로 인해 콜드체인 관련주들이 매우 주목받던 시기입니다.
  • 주가 바닥과 천장을 명료하게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시기적인 특징이 너무 크게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 보수적으로 천장은 2300원, 바닥은 1000원 정도로 잡는 것이 현명해보입니다.
  • 주요 상승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2년 9월 : 연이은 동결건조기 수주로 인해 분기 이익 기대감 상승
    • 2014년 7월 ~ 8월 : 서유럽 네덜란드 유통업체와 초저온 냉동고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상승
    • 2015년 7월 :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 적극추진 기대감에 상승?
    • 2016년 5월 ~ 6월 :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 수혜 기대감에 상승
    • 2016년 12월 ~ 1월 : 동결건조기가 바이오시밀러 업체와 생물학적제재 제약업체 등에 사용될 것이란 기대감이 증폭
    • 2018년 4월 : 삼성그룹의 바이오 주력방침 소식에 급등
    • 2020년 7월 ~ 12월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백신 공급이 전국적 이슈가 되면서 상승
    • 2024년 8월 :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동결건조기를 공급한 바 있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잇단 대규모 수주로 반사이익 실적 기대감

지배구조

홍성대 외 4인 30.93%, 자사주 5.74%

유통주식수는 약 65%네요.

공시

2022년에 상장폐지 위기에 처한 적이 한번 있습니다.

이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를 점검한 결과로, 재무제표의 제품 및 매출원가가 적절히 기록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이루어진 사항입니다.

이는 재무적 문제보다는 회계상의 오류를 지적받은 것에 가까운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재감사와 개선조치를 통해 이를 적절히 조치해 해소하였습니다.

 

그 외 위험공시는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키워드

콜드체인(냉장, 냉동 기술) 관련주로 꼽히며,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관련하여 주가가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상당히 많은 관심을 받고 부각된 종목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투자 의견

  • 장점
    • 매출,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부채 등 많은 점에서 매우 양호한 재무지표들을 보여줍니다.
    • 바이오, 제약 관련주는 모멘텀에 따른 등락폭이 매우 큰 산업이므로, 모멘텀이 잘 받쳐준다면 매우 큰 폭의 수익도 기대해봄직 합니다.
    • 제약 바이오 산업은 특성 상 금리 인하로 인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점
    • 트럼프 정부의 미국 정책에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바이오, 제약 분야는 부가가치가 매우 큰 산업인 만큼 크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의약품에 대한 관세 발표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라, 주가가 현재 바닥을 기고 있습니다.
        25% 이상의 관세가 예상되고, 최대 100% 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가 변화 추이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 최근 FDA에서 생물의약품 평가연구센터 국장에 임명된 인물이 FDA의 가속 승인 제도에 비판적이라는 풍문도 있다보니, 신약 승인이 이전보다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그렇기에 제약바이오 관련 기업의 주가가 탄력을 받기에 다소 힘든 시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총평
    • 제약 바이오 섹터 자체는 현재 상황이 매우 나쁘기도 하고, 콜드체인 관련주이니만큼 신약 개발이 적극적이어져야만 하는데 현재 상황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기는 합니다.
      • 하지만 금리 인하로 인해 연구개발 비용 조달 부담이 완화되고, 성장주에 유리한 투자환경이 갖춰지면 관련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큰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는 합니다.
    •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잇단 호재를 터뜨리고 있는 만큼, 관련주인 일신바이오도 장기적으로는 상승여력이 남아있다고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무엇보다 현 주가는 코로나 이전 시기의 바닥보다도 낮은 바닥권입니다. 장기로 투자한다고 보고 모멘텀을 기다리기에 합리적인 가격입니다.
      • 시장에 공포가 형성되었을 때(트럼프 관세) 싸게 담아두고, 천천히 모멘텀을 기다리는 것이 현명해보입니다.